동국제강 주식 투자에 신중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동국제강이 올해 봉형강과 냉연사업에서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윤상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14일 동국제강 주식의 목표주가 1만2천 원, 투자의견 중립(Hold)를 유지했다.
11일 동국제강 주가는 1만450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 연구원은 “동국제강이 12분기 연속으로 영업이익을 내면서 흑자기조를 이어가고 있지만 올해 영업환경이 녹록지 않다”며 “봉형강과 냉연업황이 좋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철근과 H형강 등 봉형강은 건물을 건설할 때 주로 쓰이는데 올해 국내 건설 수요가 부진하면서 수익성이 나빠지고 있다.
철근 스프레드(제품가격에서 원재료 가격을 뺀 것)는 2017년 1분기에 톤당 35만 원 가까이 치솟았지만 올해 1분기에는 톤당 30만 원을 밑돌고 있다. H형강 스프레드도 지난해 1분기 톤당 47만 원 가까이 올랐지만 올해 1분기에는 톤당 40만 원 정도에 가격이 형성돼 있는데 이런 흐름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열연으로 만들어진 냉연 제품의 스프레드가 떨어지는 것도 동국제강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됐다.
중국 철강 제품 가격은 전 세계 철강 제품 가격의 기준이 되는데 중국에서 열연으로 만들어진 냉연 제품 가격은 2010년부터 현재까지 꾸준한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동국제강은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6조2260억 원, 영업이익 1680억 원 낼 것으로 추산됐다. 2017년보다 매출은 2.9% 늘고 영업이익은 30.3% 줄어드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
동국제강이 올해 봉형강과 냉연사업에서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 장세욱 동국제강 부회장.
김윤상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14일 동국제강 주식의 목표주가 1만2천 원, 투자의견 중립(Hold)를 유지했다.
11일 동국제강 주가는 1만450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 연구원은 “동국제강이 12분기 연속으로 영업이익을 내면서 흑자기조를 이어가고 있지만 올해 영업환경이 녹록지 않다”며 “봉형강과 냉연업황이 좋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철근과 H형강 등 봉형강은 건물을 건설할 때 주로 쓰이는데 올해 국내 건설 수요가 부진하면서 수익성이 나빠지고 있다.
철근 스프레드(제품가격에서 원재료 가격을 뺀 것)는 2017년 1분기에 톤당 35만 원 가까이 치솟았지만 올해 1분기에는 톤당 30만 원을 밑돌고 있다. H형강 스프레드도 지난해 1분기 톤당 47만 원 가까이 올랐지만 올해 1분기에는 톤당 40만 원 정도에 가격이 형성돼 있는데 이런 흐름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열연으로 만들어진 냉연 제품의 스프레드가 떨어지는 것도 동국제강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됐다.
중국 철강 제품 가격은 전 세계 철강 제품 가격의 기준이 되는데 중국에서 열연으로 만들어진 냉연 제품 가격은 2010년부터 현재까지 꾸준한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동국제강은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6조2260억 원, 영업이익 1680억 원 낼 것으로 추산됐다. 2017년보다 매출은 2.9% 늘고 영업이익은 30.3% 줄어드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