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롯데정밀화학 목표주가가 상향조정됐다.
에폭시 소재 원료로 사용되는 에피클로로히드린(ECH) 시황이 개선되는 데다 식의약용 소재 증설로 하반기 반등 기대감이 커진 것으로 분석됐다.
DB투자증권은 2일 롯데정밀화학의 목표주가를 기존 기존 4만7천 원에서 5만7천 원으로 높였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한승재 DB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유럽이 한국에 유리한 반덤핑·상계 관세를 발표해 이 지역으로 수출이 증가하고 있다”며 “롯데정밀화학의 ECH 스프레드(판매가와 원가 차이)의 6월 평균치는 톤당 891달러로 이론상 손익분기점(BEP) 수준에 근접해 실적 회복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한 연구원은 "올해 말 식의약 소재의 증설로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할 것"이라며 "내년 이후 실적 성장이 재개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다만 2분기 실적은 부진할 것으로 추정됐다.
롯데정밀화학의 2분기 영업이익은 8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4% 감소할 것으로 추산됐다.
한 연구원은 “2년만의 대보수 비용 반영과 환율 하락의 영향으로 전 사업부문에서 이익이 감소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창욱 기자
에폭시 소재 원료로 사용되는 에피클로로히드린(ECH) 시황이 개선되는 데다 식의약용 소재 증설로 하반기 반등 기대감이 커진 것으로 분석됐다.

▲ 롯데정밀화학 목표주가가 상향조정됐다.
DB투자증권은 2일 롯데정밀화학의 목표주가를 기존 기존 4만7천 원에서 5만7천 원으로 높였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한승재 DB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유럽이 한국에 유리한 반덤핑·상계 관세를 발표해 이 지역으로 수출이 증가하고 있다”며 “롯데정밀화학의 ECH 스프레드(판매가와 원가 차이)의 6월 평균치는 톤당 891달러로 이론상 손익분기점(BEP) 수준에 근접해 실적 회복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한 연구원은 "올해 말 식의약 소재의 증설로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할 것"이라며 "내년 이후 실적 성장이 재개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다만 2분기 실적은 부진할 것으로 추정됐다.
롯데정밀화학의 2분기 영업이익은 8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4% 감소할 것으로 추산됐다.
한 연구원은 “2년만의 대보수 비용 반영과 환율 하락의 영향으로 전 사업부문에서 이익이 감소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창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