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성전기가 올해 1분기에 전분기 대비 소폭 개선된 실적을 내놓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민희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2일 삼성전기 목표주가를 16만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1일 삼성전기 주가는 13만9700원에 장을 마쳤다.
이 연구원은 “삼성전기는 MLCC(적층세라믹커패시터) 가동률이 전분기와 유사한 79% 중반을 유지하고 ASP(평균판매단가)가 소폭 상승함에 따라 매출이 3% 증가하며 수익성도 개선될 것”이라며 “또 고객사의 신모델 출시에 따라 광학모듈 성수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전기는 2024년 1분기 매출 2조3900억 원, 영업이익 1438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2023년 1분기보다 매출은 18%, 영업이익은 3% 증가하는 것이다.
다만 실적 개선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말 PC와 모바일 재고축적 수요를 이끌었던 중국 OEM(주문자 상표부착 생산업체)들의 재고수준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 연구원은 “전방 수요 부진이 지속되고 있으나 주력사업인 패키지 기판 및 MLCC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라며 “또 삼성전기 주가와 동행하는 무라타 주가와의 괴리가 커져 있는 점을 고려하면 향후 양호한 주가 흐름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바램 기자
이민희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2일 삼성전기 목표주가를 16만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 삼성전기가 올해 1분기에 이전 분기보다 소폭 개선된 실적을 내놓을 것으로 전망된다.
1일 삼성전기 주가는 13만9700원에 장을 마쳤다.
이 연구원은 “삼성전기는 MLCC(적층세라믹커패시터) 가동률이 전분기와 유사한 79% 중반을 유지하고 ASP(평균판매단가)가 소폭 상승함에 따라 매출이 3% 증가하며 수익성도 개선될 것”이라며 “또 고객사의 신모델 출시에 따라 광학모듈 성수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전기는 2024년 1분기 매출 2조3900억 원, 영업이익 1438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2023년 1분기보다 매출은 18%, 영업이익은 3% 증가하는 것이다.
다만 실적 개선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말 PC와 모바일 재고축적 수요를 이끌었던 중국 OEM(주문자 상표부착 생산업체)들의 재고수준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 연구원은 “전방 수요 부진이 지속되고 있으나 주력사업인 패키지 기판 및 MLCC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라며 “또 삼성전기 주가와 동행하는 무라타 주가와의 괴리가 커져 있는 점을 고려하면 향후 양호한 주가 흐름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바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