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심 해킹' SK텔레콤 가입자들, 국회 청원과 집단 손해배상 소송 "모여라"

▲ SK텔레콤이 `유심 해킹' 피해 예방 방안으로 유심 무상 교체를 시작했으나 준비 부족으로 가입자들의 `유심 교체 오픈런'과 허탕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SK텔레콤 가입자들의 유심(USIM·가입자 인증 모듈' 정보가 담긴 서버(컴퓨터)가 해킹(불법 침입)에 뚫려 가입자 유심정보 유출 및 그로 인한 2차 피해 발생 가능성이 28일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SK텔레콤 가입자들의 사업자를 상대로 한 공동 대응 움직임도 커지고 있다.

국민 동의 청원을 받는 누리집이 만들어지고, 집단 손해배상 소송 카페도 생겼다.

SK텔레콤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이번 사안을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단순화해 안이하게 대응하자 공동 대응에 나서는 것이다.

실제로 SK텔레콤이 과기정통부와 협의해 내놓은 가입자 피해 예방 대책 가운데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권유'는 국제로밍 서비스가 차단돼 국외 여행이나 출장 시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못하는 피해를 낳고, 유심 무상 교체는 재고 물량 준비 부족으로 `유심 교체 오픈런'과 허탕을 치게 하는 불편을 주고 있다.

이번 사태 발생 초기, 통신 업계와 학계에선 이번 사안을 SK텔레콤의 이동통신망이 뚫려 우리나라 국가 기간통신망이 해커(불법 침입자) 손에 놀아날 수 있는 상태에 놓였었다는 점을 전제로 원인 진단과 후속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SK텔레콤 가입자들은 SKT 유심 해킹 공동대응 공식 누리집이 개설됐다. 운영진은 언론에 보낸 전자우편을 통해 "유출된 정보는 휴대전화 번호 인증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금융,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서 중대한 2차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데, SK텔레콤의 대응은 매우 미흡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명확한 피해 범위나 규모도 제대로 밝혀지지 않고 있어 이용자들의 불안감과 혼란이 증폭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운영진은 국회 국민동의 청원을 통해 철저한 진상규명과 피해 규모 파악, SK텔레콤의 책임 있는 대응을 촉구할 방침이다. 정부의 실효성 있는 피해 구제·재발 방지책 마련도 촉구했다.

국회 청원은 5만 명 이상 동의를 목표로 진행 중이다.

SK텔레콤 가입자들은 이와 별도로 집단 손해배상 소송도 추진하고 있다. 지난 26일 개선된 `SK텔레콤 개인정보 유출 집단소송 카페'는 하루 만에 참여자가 3천명을 넘었다. 카페 운영진 쪽은 "유심 정보는 단순한 통신정보가 아니다. 복제폰 개통, 보이스피싱, 금융 사기 등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개인정보 침해"라고 주장하며 참여자를 모으고 있다. 김재섭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