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제유가가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기준으로 4월 초까지만 해도 70달러를 웃돌다가 단 열흘 만에 60달러 선까지 위협받는 수준으로 급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발 관세전쟁에 따른 경기 침체와 수요 위축 전망이 과도하게 반영된 데 따른 현상으로 풀이된다.
다만 공급도 현재 유가 수준에서는 함께 둔화될 공산이 커 추가로 급락할 가능성은 높지 않으며 설사 더 내려가더라도 그 기간이 길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6일 에너지업계와 증권업계에 따르면 미국 에너지정보청(EIA), 석유수출국기구(OPEC) 및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최근 일제히 올해와 2026년 원유 수요 전망치를 일제히 하향 조정했다.
그 배경으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정책으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점이 꼽혔다.
JP모간을 비롯한 투자은행업계 일각에서는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세계 경제가 침체에 들어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초부터 미국 물가 안정을 위해 에너지 가격을 낮추고자 '드릴, 베이비, 드릴(Drill, Baby, Drill)'로 대표되는 에너지 정책 구호에 따라 화석연료 생산 및 인프라 건설을 독려하고 북극 시추 금지 조치도 폐지했다.
다만 유가가 지나치게 낮아지면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기반인 에너지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어 공급확대 정책에 일정 부분 속도 조절이 이뤄질 가능성도 나온다.
전유진 IM증권 연구원은 "미국이 과거 안정적 물가 속에서 호황을 누렸던 시기를 참고해 명목 WTI 기준으로 따져보면 이상적 유가는 배럴당 45~57달러"라며 "반면 에너지기업들이 수익 창출에 필요한 유가 수준은 60~70달러 사이"라고 분석했다.
또 미국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이 81개 에너지개발업체를 대상으로 '신규 유정을 수익성 있게 시추하기 위한 유가는 얼마인가'를 설문조사한 결과, 61~70달러(평균 64달러) 수준이라는 응답이 나왔다.
트럼프 정부가 원하는 물가 안정과 에너지 자립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신규 시추가 활발하게 이뤄져야 하므로 60달러 선에서 유가가 유지되는 방향으로 에너지 정책의 방향이 맞춰질 공산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최근의 공급 확대 추세 역시 다소 둔화할 가능성이 커 추가 하락 가능성을 낮추는 요소로 꼽힌다. EIA, OPEC, IEA 등 국제에너지기구 역시 원유 수요 전망을 낮추면서 동시에 공급 전망도 함께 하향 조정했다.
심수빈 키움증권 연구원은 "OPEC+(석유수출국기구+비회원 산유국 모임)가 5월 증산 규모를 상향 조정할 것으로 발표했으나 일부 산유국의 과잉생산에 대한 보상 감산을 고려하면 전체적인 공급 확대 규모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심 연구원은 "현재 유가 수준만 유지되어도 미국 에너지 기업들의 추가 시추 의지가 떨어질 수 있다"며 "이를 종합하면 트럼프 정부 관세정책의 불확실성으로 국제유가가 일시적으로 60달러를 밑돌 수는 있으나 일시적 흐름에 머물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국제유가의 추가 하락을 고려해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황성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사우디아라비아의 공기업 아람코가 증산 정책으로 완전히 전환해 아시아 수출 원유의 공식판매가(OSP)를 빠르게 하향하고 있다"며 "과거 2015년 OPEC의 증산 뒤 미국 셰일오일업체들의 구조저정이 진행됐던 전례를 볼 때 추가 하락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바라봤다.
이와 함께 지난 4년간 국제유가의 바닥선으로 작용하던 70달러 선이 향후 저항선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황병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단기 과매도에 따른 반발 매수가 들어올 수도 있으나 트럼프 정부의 증산 정책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등에 따른 공급 우위 가능성이 여전해 70달러 이상으로 오를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고 분석했다.
황 연구원은 이어 "미국의 이란과 베네수엘라산 석유제재가 단기적 국제유가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며 "이를 종합하면 국제유가가 한동안 50~60달러 사이에서 움직일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박창욱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발 관세전쟁에 따른 경기 침체와 수요 위축 전망이 과도하게 반영된 데 따른 현상으로 풀이된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의 전 세계를 상대로 한 관세 인상 움직임으로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며 국제유가가 4월 들어 급락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다만 공급도 현재 유가 수준에서는 함께 둔화될 공산이 커 추가로 급락할 가능성은 높지 않으며 설사 더 내려가더라도 그 기간이 길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6일 에너지업계와 증권업계에 따르면 미국 에너지정보청(EIA), 석유수출국기구(OPEC) 및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최근 일제히 올해와 2026년 원유 수요 전망치를 일제히 하향 조정했다.
그 배경으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정책으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점이 꼽혔다.
JP모간을 비롯한 투자은행업계 일각에서는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세계 경제가 침체에 들어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초부터 미국 물가 안정을 위해 에너지 가격을 낮추고자 '드릴, 베이비, 드릴(Drill, Baby, Drill)'로 대표되는 에너지 정책 구호에 따라 화석연료 생산 및 인프라 건설을 독려하고 북극 시추 금지 조치도 폐지했다.
다만 유가가 지나치게 낮아지면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기반인 에너지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어 공급확대 정책에 일정 부분 속도 조절이 이뤄질 가능성도 나온다.
전유진 IM증권 연구원은 "미국이 과거 안정적 물가 속에서 호황을 누렸던 시기를 참고해 명목 WTI 기준으로 따져보면 이상적 유가는 배럴당 45~57달러"라며 "반면 에너지기업들이 수익 창출에 필요한 유가 수준은 60~70달러 사이"라고 분석했다.
또 미국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이 81개 에너지개발업체를 대상으로 '신규 유정을 수익성 있게 시추하기 위한 유가는 얼마인가'를 설문조사한 결과, 61~70달러(평균 64달러) 수준이라는 응답이 나왔다.
트럼프 정부가 원하는 물가 안정과 에너지 자립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신규 시추가 활발하게 이뤄져야 하므로 60달러 선에서 유가가 유지되는 방향으로 에너지 정책의 방향이 맞춰질 공산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최근의 공급 확대 추세 역시 다소 둔화할 가능성이 커 추가 하락 가능성을 낮추는 요소로 꼽힌다. EIA, OPEC, IEA 등 국제에너지기구 역시 원유 수요 전망을 낮추면서 동시에 공급 전망도 함께 하향 조정했다.
심수빈 키움증권 연구원은 "OPEC+(석유수출국기구+비회원 산유국 모임)가 5월 증산 규모를 상향 조정할 것으로 발표했으나 일부 산유국의 과잉생산에 대한 보상 감산을 고려하면 전체적인 공급 확대 규모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심 연구원은 "현재 유가 수준만 유지되어도 미국 에너지 기업들의 추가 시추 의지가 떨어질 수 있다"며 "이를 종합하면 트럼프 정부 관세정책의 불확실성으로 국제유가가 일시적으로 60달러를 밑돌 수는 있으나 일시적 흐름에 머물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국제유가의 추가 하락을 고려해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 OPEC의 증산 뒤 미국 셰일오일업체들의 구조저정이 진행됐던 전례를 볼 때 국제유가가 추가 하락할 수 있다는 견해가 나온다.
황성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사우디아라비아의 공기업 아람코가 증산 정책으로 완전히 전환해 아시아 수출 원유의 공식판매가(OSP)를 빠르게 하향하고 있다"며 "과거 2015년 OPEC의 증산 뒤 미국 셰일오일업체들의 구조저정이 진행됐던 전례를 볼 때 추가 하락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바라봤다.
이와 함께 지난 4년간 국제유가의 바닥선으로 작용하던 70달러 선이 향후 저항선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황병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단기 과매도에 따른 반발 매수가 들어올 수도 있으나 트럼프 정부의 증산 정책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등에 따른 공급 우위 가능성이 여전해 70달러 이상으로 오를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고 분석했다.
황 연구원은 이어 "미국의 이란과 베네수엘라산 석유제재가 단기적 국제유가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며 "이를 종합하면 국제유가가 한동안 50~60달러 사이에서 움직일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박창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