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덜란드를 방문했던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15일 오전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귀국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회장은 15일 오전 7시 경 서울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경계현 삼성전자 DS부문장 겸 대표이사 사장 등과 함께 귀국했다.
이 회장은 이번 출장성과를 묻는 질문에 “반도체가 거의 90%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윤석열 대통령의 최근 네덜란드 국빈 방문을 계기로 현지 반도체 장비기업 ASML과 공동으로 1조 원을 투자해 차세대 극자외선(EUV) 노광장비 기술을 연구하는 시설을 한국에 건립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 회장은 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시종일관 밝은 표정을 보여 만족스러운 출장성과를 거둔 분위기를 전달했다.
특히 이 회장은 기자들 앞에서 경계현 사장을 격려하듯 등을 여러 번 두드리는 모습을 나타내기도 했다.
이 회장과 출장길에 동행했다가 함께 귀국한 경계현 사장은 ASML과 공동연구를 진행하는 것을 두고 “EUV는 반도체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장비 가운데 하나다”며 “반도체 전체 공급망을 놓고 볼 때 굉장히 튼튼한 우군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경 사장은 공동연구시설 설립목적을 두고 “경기도 동탄에 공동연구소를 짓고 하이 NA EUV 노광장비를 들여와 AMSL 엔지니어와 삼성전자의 엔지니어가 같이 기술 개발을 하게 될 것이다”며 “삼성전자가 하이 NA EUV에 대한 우선권을 보유하게 될 것이다”고 말했다.
ASML은 2025년부터 하이 NA EUV 장비를 양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2025년 모바일 중심의 2나노 반도체 양산을 시작으로 2026년에는 고성능 컴퓨팅(HPC)에 2나노를 적용하고 2027년에는 1.4나노 반도체를 양산한다는 계획을 올해 6월 내놓은 바 있어 하이 NA EUV 장비 확보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에 놓여 있다.
경계현 사장은 “장기적으로 D램이나 로직반도체(시스템 반도체)에서 하이 NA EUV를 잘 쓸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