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비트코인 시세가 1억1792만 원대에서 하락하고 있다.
미국 행정부가 주요 국가 대상 관세 부과를 유예하며 급등하던 가상화폐 가격은 중국 대상 관세율을 조정한 뒤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11일 가상화폐거래소 빗썸에서 오전 8시45분 기준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1BTC(비트코인 단위)당 1.87% 내린 1억1792만3천 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빗썸에서 거래되는 가상화폐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가격은 엇갈리고 있다.
이더리움은 1ETH(이더리움 단위)당 2.46% 내린 225만8천 원에, 엑스알피(리플)는 1XRP(엑스알피 단위)당 1.42% 내린 2921원에 거래되고 있다.
도지코인(-0.87%) 트론(-0.85%)도 24시간 전보다 낮은 가격에 사고팔리고 있다. 에이다(0.00%)는 24시간 전과 같은 수준에서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반면 솔라나는 1SOL(솔라나 단위)당 0.06% 오른 16만7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테더(0.07%) 비앤비(0.12%) 유에스디코인(0.14%)도 24시간 전보다 높은 가격에 사고팔리고 있다.
가상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이 중국 대상으로 부과하는 관세율을 높이며 비트코인 가격은 하루 만에 약 4% 하락했다.
10일(현지시각) 미국 백악관 관계자는 CNBC 등 외신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정부 출범 뒤 미국이 중국에 부과하는 합계 관세율은 125%가 아닌 145%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제외 주요 국가 대상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한다고 밝히며 중국 대상 관세는 125%라고 말했다.
하지만 여기엔 트럼프 대통령이 2월 미국으로 유입되는 중국산 펜타닐(좀비마약) 원료를 문제 삼아 중국 대상으로 추가 부과한 20% 관세가 포함되지 않았다. 이에 관세가 145%로 정정된 것이다.
가상화폐 자동화 플랫폼 코인패널 소속 전문가 키릴 크레토프는 “정치적으로 민감한 상황에서 뉴스 하나가 시장 분위기를 바꿀 수 있다”며 “현재 가상화폐 시장 주요 변동 요인은 관세 정책이다”고 설명했다. 김지영 기자
미국 행정부가 주요 국가 대상 관세 부과를 유예하며 급등하던 가상화폐 가격은 중국 대상 관세율을 조정한 뒤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 미국 행정부가 중국 대상 관세를 125%에서 145%로 높인 뒤 가상화폐 시장 투자심리는 위축됐다. 사진은 가상화폐 그래픽 이미지.
11일 가상화폐거래소 빗썸에서 오전 8시45분 기준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1BTC(비트코인 단위)당 1.87% 내린 1억1792만3천 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빗썸에서 거래되는 가상화폐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가격은 엇갈리고 있다.
이더리움은 1ETH(이더리움 단위)당 2.46% 내린 225만8천 원에, 엑스알피(리플)는 1XRP(엑스알피 단위)당 1.42% 내린 2921원에 거래되고 있다.
도지코인(-0.87%) 트론(-0.85%)도 24시간 전보다 낮은 가격에 사고팔리고 있다. 에이다(0.00%)는 24시간 전과 같은 수준에서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반면 솔라나는 1SOL(솔라나 단위)당 0.06% 오른 16만7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테더(0.07%) 비앤비(0.12%) 유에스디코인(0.14%)도 24시간 전보다 높은 가격에 사고팔리고 있다.
가상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이 중국 대상으로 부과하는 관세율을 높이며 비트코인 가격은 하루 만에 약 4% 하락했다.
10일(현지시각) 미국 백악관 관계자는 CNBC 등 외신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정부 출범 뒤 미국이 중국에 부과하는 합계 관세율은 125%가 아닌 145%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제외 주요 국가 대상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한다고 밝히며 중국 대상 관세는 125%라고 말했다.
하지만 여기엔 트럼프 대통령이 2월 미국으로 유입되는 중국산 펜타닐(좀비마약) 원료를 문제 삼아 중국 대상으로 추가 부과한 20% 관세가 포함되지 않았다. 이에 관세가 145%로 정정된 것이다.
가상화폐 자동화 플랫폼 코인패널 소속 전문가 키릴 크레토프는 “정치적으로 민감한 상황에서 뉴스 하나가 시장 분위기를 바꿀 수 있다”며 “현재 가상화폐 시장 주요 변동 요인은 관세 정책이다”고 설명했다. 김지영 기자